당뇨망막병증

정상 시야, 당뇨망막병증 시야

당뇨망막병증
이란?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로 인해 망막의 모세혈관이 막혀 저산소증을 일으키고, 혈관주위에 부종과 출혈을 야기하는 질환입니다. 혈당관리를 철저히 해도 당뇨 발병 후 20년이 지나면 대부분의 환자에게 당뇨망막병증이 나타나 ‘당뇨의 그림자’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평소 안과 질환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지만, 당뇨를 앓은 기간이 오래된 경우 안과 검진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젊은 나이에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면 당뇨망막병증이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실명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일 년에 한 번 안과 검진을 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당뇨망막병증이 이미 생겼어도 모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당뇨 환자가 적극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진단 및 시기와 질환의 정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당뇨망막병증의 합병증 예방 및 시력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원인

당뇨망막병증의 원인은 당뇨입니다. 당뇨는 눈과 시력에
악영향을 줍니다. 전세계 실명원인 1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당뇨 합병증으로, 당뇨를 앓은 기간이 오래될수록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당뇨병 경력이 30년 이상 또는 그 이상
되는 환자에게는 약 90%가 발생되며, 15년 전후일 경우
당뇨망막병증 발병율이 약 60~70%에 이릅니다.

평소 혈당 조절이 잘 안된경우 발병확률이 높습니다.
1형 당뇨환자의 대부분은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 생기며,
2형 당뇨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은 아주 드물게 나타납니다.

당뇨망막병증 종류

당뇨망막병증은 크게 비증식성,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두 가지로 나뉩니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대부분의 당뇨망막병증은 비증식성으로, 망막 모세혈관이
작은 풍선처럼 커져 꽈리모양으로 변형됩니다.
안저검사에서는 황반이 붓는 황반부종이 관찰되며, 망막이
두꺼워지고 미세동맥류 주변에 황색 경성삼출물이 관찰됩니다.

일반적으로 비증식성은 실명을 초래하지 않으나, 모세혈관벽이
약해져 물이 새어나가면 황반이 부어 시력이 떨어집니다.
비증식성의 대부분은 치료가 필요없지만, 황반부종이 관찰되면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고혈압 조절과 혈당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을 멈추는 방향으로 치료하며, 일부는 시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은 망막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나타난 신생혈관이 시력의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신생혈관은 지속적으로 유리체 수축을 일으키고, 망막이
찢어지는 망막박리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신생혈관은
쉽게 터져 혈액을 누출시키는데, 이는 유리체 강 내로의
출혈로 급작스러운 시력 손실을 유발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신생혈관은 섬유 조직과 함께
자라기도 하는데, 섬유 조직이 수축되어 견인력이 생기면
망막이 구겨지거나 망막이 떨어져 망막 박리를 일으킵니다.
심하면 홍채에도 신생혈관이 생겨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당뇨망막병증의 치료는 진행 시기와 상태에 따라 스테로이드, 항체주사, 레이저 수술 등을 선택하여 진행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이 일시적으로 좋아졌다고 해도 치료는 지속해야 하며,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은 집중적인 혈당 조절과 전신질환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단, 13세 이하의 어린이나 심한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환자의 경우 전신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합니다.
치료는 크게 항체주사, 범광막광응고술, 유리체절제술 3가지로 나뉘며 황반부종이 동반되는
당뇨망막병증의 경우 국소광응고술도 함께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항체주사치료

항체주사치료는 눈 속의 출혈 위험이 있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의 항체를 눈에 직접 주사하여
혈관의 출혈을 막고 신생혈관 생성 자체를 억제시켜
시력을 회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입니다.

항체주사는 부분마취로 시행되며, 5분 정도면 주사
치료가 끝나므로 전신상태가 좋지 못한 환자들도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를 할 수 없는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합니다.
주사치료 대상자 보기
범망막광응고술 레이저치료 후 망막

범망막광응고술

망막에 수백개의 응고반점을 2-4회에 걸쳐서
만들어 치료합니다. 이미 출혈이나 망막박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시행이 불가능합니다.

부작용은 대개 미미하나, 치료 직후 흐리게
보이거나 주변부 시야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망막 이측 혈관궁 바깥 부위에 전반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해 심한 유리체 출혈 및 견인성 망막박리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유리체절제술

유리체절제술은 혼탁한 유리체를 제거하고
맑은 액체로 바꾸는 동시에 망막에 생긴 새로운 혈관과
혈관을 싸고 있는 막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흡수되지 않는 유리체 출혈 및 혼탁, 반복되는
유리체 출혈, 황반부를 위협하는 또는 열공을 동반한
견인망막박리, 심한 황반부 출혈, 레이저 치료 후에도
진행하는 섬유혈관 증식, 유리체 혼탁으로
레이저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홍채신생혈관 생길 시에
유리체절제술을 실시합니다.

유리체절제술은 섬세하고 정교한 수술인 만큼 망막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게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수술 결과를 끌어올리기 위해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추가적인 광응고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 - 유리체 출혈 관찰, 수술 후- 시력호전

당뇨망막병증 예방법

당뇨망막병증의 완전한 예방법은 없으며, 모든 형태의 당뇨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면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을 늦추고 진행을 느리게 할 수 있습니다.

  • 6개월에 한 번 안과검진 받기

  • 당뇨 환자는 1년에 한 번, 당뇨망막병증을 이미
    앓고 있다면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한 번 손상된 망막은 다시 되돌리기 어려우므로 조기
    발견될수록 치료 효과가 좋으며, 시력저하가 느껴질 때는
    즉시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 혈당조절하기

  • 당뇨망막증은 정기검진 외에도 혈당조절을
    잘해야 합니다. 적어도 하루에 3번 이상
    혈당검사를 실시해 혈당을 완벽히 조절한다면
    당뇨망막증의 진행을 76%이상 막을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에 대해 자주하는 질문 FAQ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궁금증

  •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환자라면 모두 생기나요?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환자라면 모두 생긴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만, 당뇨 유병기간이 길거나 나이가 들수록 발병위험이 증가합니다. 대개 당뇨병이 발병하여 20년이 지나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99%, 제 2형 환자의 60%에서 망막병증이 생기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은 발병하면 당뇨병이 조절된다고 하더라도 병의 증세가 나아지기를 기대하기 힘들며 제1형의 86%, 제2형의 33%에서 실명을 가져온다고 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당뇨망막병증을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요?

    당뇨망막병증은 질병이 많이 진행될 때까지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시작하는데 이 때 병을 방치하게 되면 대부분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은 망막에 비정상적인 신생혈관들이 자라나 망막 내 출혈을 일으키고 망막박리와 같은 부수적인 합병증을 동반하여 결국 실명에 이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당뇨망막병증을 판단할 때 어떤 검사를 하나요?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해 시력의 저하가 왔는지 시력을 먼저 측정하고 동공을 크게 만들어 세극등을 이용해 망막을 검사합니다. 필요에 따라 형광안저촬영 (특수카메라를 이용하여 망막사진을 얻는 검사로 망막혈관을 분명히 볼 수 있도록 도와줌) 및 광간섭단층촬영인 OCT 촬영을 추가로 진행하여 병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당뇨망막병증이 있을 때 운동 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적당한 운동은 당뇨를 관리하고 혈류를 개션시켜 당뇨와 망막병증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심한 당뇨망막병증이 있을 경우에 고강도 운동을 했을 시 망막의 출혈로 이어져 실명 위험이 커질 수 있으므로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이 적절하며 운동 전 담당 의사와 운동의 강도에 대해 의논해야 합니다.

  • 당뇨망막병증이 있을 때 임신을 해도 괜찮나요?

    당뇨병은 임신 중 산모 뿐 아니라 태아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당뇨병이 있는 여성의 임신은 신중해야 합니다. 산모가 당뇨를 앓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당뇨망막병증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당뇨병이 있다면 임신 전 전체적인 안과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임신을 한 경우에는 첫 3개월 내 안과 검진을 받은 후 임신 기간 동안 3개월마다, 출산 후에는 1년까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